본문 바로가기

부정경쟁방지법 주요 판례 동향 분석 (2023~2025 판례)

킴청명 2025. 8. 12.

부정경쟁방지법 분야의 최근 판례 동향을 살펴보면, 영업비밀 보호와 부정경쟁행위 판단에 관한 중요한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지표지 사용권자도 이제 금지청구 가능해져

2023년 12월 28일 대법원이 내린 결정은 상당히 주목할 만합니다. 그동안 주지표지의 소유자만 금지청구를 할 수 있다고 여겨졌는데, 이번 판결로 사용권자도 동일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되었거든요.

특히 '제주일보' 사건에서는 정식으로 등록해서 신문을 발행하던 회사가 같은 이름을 쓰는 다른 신문사를 상대로 부정경쟁행위 금지를 청구할 수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이로써 사용권자의 법적 지위가 확실히 보장받게 된 셈이죠.

주지표지 공동보유 시 의사결정 방식 개선

2024년 7월 11일 대법원은 실무에 도움이 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상표권이 없어진 주지표지를 여러 명이 함께 보유하고 있을 때, 사용허락을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거예요.

기존에는 모든 공유자가 동의해야 한다고 봤는데, 이제는 민법 원칙을 적용해서 과반수 지분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실적으로 훨씬 합리적인 방향이라고 생각됩니다.

영업비밀 보호, 더욱 까다로워져

영업비밀과 관련해서는 법원의 판단이 점점 엄격해지고 있어요. 2024년 5월 30일 대법원은 영업비밀 누설 사건에서 피고인의 고의와 목적을 매우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히 정보를 가져갔다고 해서 바로 처벌하는 게 아니라, 정말로 영업비밀인 줄 알고 나쁜 목적으로 했는지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는 뜻이죠.

2025년 5월 15일에는 산업기술 유출 관련해서도 형벌 법규는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기술을 가져온 당시에 법으로 보호받는 산업기술이었어야만 처벌할 수 있다는 거예요.

성과도용행위 판단 기준도 구체화

최근 판례들을 보면 성과도용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더욱 세밀해지고 있습니다. 그냥 아이디어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창의적으로 구현된 결과물이어야 하고, 상당한 노력과 투자가 들어간 것이어야 하며, 공정한 경쟁을 해치는 방식으로 사용됐는지까지 따져보고 있어요.

2023-2025년 주요 부정경쟁방지법 판례 현황

연도 주요 판례 핵심 쟁점 법적 의미
2023 대법원 2023. 12. 28. 자 결정 주지표지 사용권자의 금지청구권 사용권자 지위 확립
2024 대법원 2024. 7. 11. 선고 판결 주지표지 공동보유자 사용허락 과반수 결정 원칙 확립
2024 대법원 2024. 5. 30. 선고 판결 영업비밀 누설의 고의·목적 판단 기준 엄격화
2025 대법원 2025. 5. 15. 선고 판결 산업기술 유출 처벌 범위 형벌법규 해석 엄격성

실무에서 챙겨야 할 포인트들

이런 판례 변화를 보면서 실무진들이 주의 깊게 봐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먼저 주지표지 관련해서는 사용권자도 이제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됐어요. 그리고 공동보유 상황에서도 의사결정이 한결 수월해졌고요.

다만 영업비밀 쪽은 좀 더 신경 써야겠습니다. 고의와 목적에 대한 입증이 까다로워지고 있어서 기업들은 영업비밀 관리 시스템을 더욱 체계적으로 만들어야 할 것 같아요.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부정경쟁행위들이 나타날 텐데, 그에 맞는 법리도 계속 발전할 거예요. 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판례 동향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미리미리 대비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다른 글 더보기

 

부당이득금 반환소송의 최신 판례 동향과 실무 가이드

부당이득금 반환소송은 민법상 중요한 법적 구제수단 중 하나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법원의 판단 기준이 더욱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발전해왔는데요, 2023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신 판례들을 통

downalload.com

 

명예훼손 손해배상 판례 동향과 실무 쟁점 (2023~2025)

명예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 사건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명예 보호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 2023년부터 2025년까

downalload.com

 

최근 3년 소송사기 판례 해설 및 주요사례 정리

소송사기란 거짓 주장과 조작된 증거로 법원을 속여 자신에게 유리한 판결을 받아내고, 이를 통해 상대방의 재산을 빼앗는 범죄를 말합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대법원은 소송사기와 관련된 여러

downalload.com

댓글